책165 그럴 수 있어 3장 3장 네가 있어 참 좋다. 이번 3장은 양희은 님이 자신의 주변 친구들에 대해 이야기들을 했다. 일흔 살이 되어서 참석한 동창회에서 옛 친구들을 만난 이야기이며 목욕탕에서 만난 이웃들의 이야기 등 주변 이야기들을 했다. 옛 친구들은 시간이 지나도 전혀 어색함이 없다. 나도 이러한 경험을 해본 적이 있는데 정말 어색함이 없다. 그냥 좋다. 아니 좋다고 표현하는 것도 이상하다. 양희은 님께서도 나이가 들었음에도 동창회에 참석해 느낀 기분을 이 장에 적으셨는데 공감이 됐다. 방송국 일을 할 적이면 새벽에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하루 일과를 방송국 근처 목욕탕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목욕탕에서 만난 여러 이웃들은 양희은의 노래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오며 가며 보던 이웃들을 걱정.. 2023. 12. 7. 그럴 수 있어 2장 2장 못다 한 노래가 남아있네 양희은 이라는 곡을 발매했었다. 아침이슬은 김민기가 작곡한 곡으로 4.19 공동묘지를 보다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아침 이슬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대표곡으로 사용된다. 양희은도 이 곡이 이렇게 불러질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한다. 아침에 학교를 가던 중 데모학생들에게서 들려오는 자신의 노래를 듣고 깜짝 놀라 모골이 송연해졌다고 한다. 얼마나 놀랬을까?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서 자신의 의도와 다르게 자신의 노래가 불러지고 있는 것을 보고 있으면 모골이 송연해질 만하다. 그리고 그런 의도로 작곡한 노래도 아니었다고 한다. 아침 이슬 노래 가사를 보면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떠오르고 한낮에 찌는 더위는 나의 시련일지라 나 이제 가노라 저 거친 광야에 서러.. 2023. 12. 7. 그럴 수 있어 1장 1장. 우리는 몇 번이나 더 만날 수 있을까 일흔 살 할머니가 들려주는 인연에 대한 이야기들이었다.. 양희은이 산책하며 느끼는 소소한 감정들이 고스란히 나에게 전해졌다. 애완견 미미와 매일 함께 걷는 산책코스. 미미도 이제 노견이어서 힘에 겨워한다고 하는데 그 모습이 훤히 보였다. 늙은 사람과 늙은 강아지의 동행이라 같으면서 다른 듯한 모습을 상상하며 가만히 보게 된다. 일흔 살이면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될 것 같다. 이 책의 양희은 선생님께서도 죽음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자신의 어머니가 죽기 전에 모든 것을 터놓고 이야기하며 용서하고 미워했다고 말하고 나니 마음이 가벼워졌다는 부분은 나의 가슴을 미어지게 했다. 양희은은 자신을 어머니의.. 2023. 12. 6. 역행자 8장 역행자의 챗바퀴 시지프스 신화에서 시지프스는 산에서 굴러 떨어진 돌을 다시 정상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다시 떨어지면 그 돌을 다시 정상으로 올려놓는다. 계속 반복한다. 마치 무간지옥 같은 것이다. 역행자들도 이러한 반복적인 좌절과 성공 끝에 레벨업에 성공한 사람들이다. 이는 내가 가지고 있는 철학관과도 비슷하여 매우 흥미로웠다. 전에 읽은 명상록이 떠오르기도 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자신의 스승인 에픽테토스와 달리 실제로 철학을 전쟁이나 정치를 통해서 경험한다. 몸소 철학을 체험한 것이다. 전쟁 중에도 철학공부를 계속한다. 공부와 더불어 철학을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보면서 많은 것을 깨닫게 된다. 로마의 마지막 전성기를 이끌었던 왕으로 사람들 머릿속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역행자들도 자신들이 얻은 돈 버는 지식을 실.. 2023. 12. 5. 역행자 7장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1. 요약 자청은 돈을 버는 근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돈을 버는 근력은 아이디어이다. 아이디어는 책이라는 인풋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그는 22전략을 실천에 옮겼고 이별이라는 아이템으로 아트라상을 설립하여 돈을 벌게 되었다. 그 이후에는 마케팅 분야와 홍보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자신의 돈을 조금 더 확보하였다. 운동을 하기 위해서 기초근력이 있어야 하듯이 그는 책과 글쓰기로 기초근력을 키운 것이다. 근력을 키웠다면 그 다음 어떤 방법으로 돈을 벌어야 할까? 이 책에서는 돈을 버는 원리를 간단하게 두 가지로 소개한다. 1. 상대방을 편하게 해주기 2. 상대방을 행복하게 해주기 한마디로 서비스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돈을 벌 수 있고,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상대방을 편.. 2023. 12. 5. 역행자 6장 역행자의 지식 1. 요약 6장에서는 역행자의 2가지 지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버이론 자청은 자신을 도와주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자신이 받은 만큼 베풀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자청의 주식을 재테크해주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자청의 재산을 몇 배로 불어나게 해 주었다. 그래서 자청은 이에 보답하고자 돈을 그 사람에게 보낸다. 재테크를 도와준 사람은 이렇게 보답하는 사람은 네가 처음이라고 말하며 보답은커녕 오히려 안면몰수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기브 앤 테이크라는 책을 보면 이 세상에는 3가지 분류의 사람이 있다고 한다. 그 3가지 분류의 사람은 주는 것보다 더 많이 베푸는 기버, 받은 만큼 돌려주는 테이커, 받기만 하는 메쳐로 나누어진다. 이 사람들 중 가장 잘 사는 사람을 통계치로.. 2023. 12. 4.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8 다음